오늘은 EMP펀드 공부일기다
EMP의 정의부터 살펴보면
ETF MANAGED PORTFOLIO의 약자로 말그대로 ETF를 여러개 담아 하나의 펀드를 만든 것이다
이름 그대로 여러 자산을 배분하여 운용하는 ETF를 담고 있기 때문에 EMP는 변동성이 높거나 불안한 시장에서 많이 언급된다
금융투자협회 공시에서 EMP 펀드를 조회해보면
클래스별, 환헷지별, 수~백 개의 펀드가 검색되는데
엑셀로 중복항목을 제외해보면
대략 100개 미만의 상품이 나온다
그중에 최근 보도된 기사를 참고해 선별했다
파이낸셜 뉴스_조정장에 ETF 분산 투자… EMP펀드 한달새 280억 뭉칫돈
12일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EMP펀드에는 최근 1개월 동안 283억원의 자금이 들어왔다. 특히 최근 1주일 새 161억원이, 최근 3개월로 따지면 1282억원이 유입됐다. 개별 펀드 중에선 'IBK플레인바닐라EMP'가 최근 1개월 간 156억원 유입으로 선두를 차지했다. KB글로벌주식솔루션(34억원), 삼성믿음직한사계절EMP(32억원), 키움불리오글로벌멀티에셋EMP(3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펀드비교

각각의 EMP에 적용된 전략을 요약해 보자면
- 인컴: 배당이나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형태
- 올웨더: 경제상황을 4가지로 분류하여 각 경제상황 별로 자산을 배분하는 전략
- 환헤지x : 환 노출을 한다의 동의어로 환차익까지 고려한 투자방식
- 모멘텀: 자산가격 추세를 보고 투자하는 전략
- 전략배분: 여러 전략들을 배분하여 투자하는 전략
이렇다!
배당인컴, 올웨더 전략을 구사하는 IBK와 삼성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대신 수익률 또한 안정적으로 적은(?)편이고 글로벌주식분산투자, 올웨더+알파 전략을 취하는 KB와 키움은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자산배분 펀드, 변동장 등에서 강점이 있다 하니
상대적으로 일반 펀드나 ETF보다 수익이 많이 낮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보니 수익률이 나쁘지 않은 것 같다
물론 최근 2년간 글로벌 장도 좋았지만 말이다
그리고 EMP 상품리스트를 보다보면 테마형 EMP들이 있는데.. 매리트를 잘 모르겠다
EMP는 적당한 수익률에 안정적인 전략이 특징이라고 생각하는데 일단 테마는 아무리 자산 배분을 하더라도 관련산업 이슈가 생기면 당연히 변동성에 취약하다
따라서 테마보다는 자산배분을 어떻게 했느냐가 더 중요한 거 같다. 보도자료에서 추천해준 펀드만 보아도 모두 전략배분 중심의 상품이다
여튼, 장기적으로 연금 포트폴리오에 추가할 걸 고려해봐야겠다. 지금은 총알이 없다데쓰..
끝.